식물

독버섯구별법

뫼랑2 2019. 9. 9. 08:00

1.독버섯구별방법

독버섯을 확실하게 구별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민간에 전해지는 독버섯 구분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개 잘못

된 속설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구분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민간에 전해지는 독버섯 구분방법은 대략 여섯가지 정도가 있는데 이를 소개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버섯의 색깔이 화려하면 독버섯이다.

이는 전적으로 옳은 말이 아닌데 예를 들면 달걀버섯 같은 경우 빨간색을 띄는 화려한 버섯이지만 맛이 좋아 식용으로 쓰이고 삿갓외대버섯은 수수한 색깔을 띄지만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독버섯의 자루는 세로로 찢어지지 않으므로 자루가 세로로 찢어지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

이 또한 예외적인 상황이 있으므로 전적으로 이러한 속설을 믿어서는 안된다.


셋째, 가지와 버섯은 음식 궁합이 잘 맞아서 가지를 버섯과 같이 먹으면 버섯의 독이 없어진다.

가지는 음식에 의한 중독을 해독시키지만 버섯의 독을 해독시키지는 못한다.


넷째, 은수저에 닿으면 색깔이 변하는 것은 독버섯이다.

유황을 함유한 독버섯에만 해당 되는 사항이다.


다섯째, 나무에서 자라는 버섯은 무조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나무에서 자라는 화경버섯 같은 경우는 나무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독버섯이다.


여섯째, 싸리버섯류는 식용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노란싸리버섯은 먹으면 설사를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독버섯의종류

담갈색송이, 비단빛깔때기버섯, 흰삿갓깔때기버섯, 배불뚝이깔때기버섯, 넓은주름긴뿌리버섯, 맑은애주름버섯,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 긴골광대버섯아재비, 큰주머니광대버섯, 뱀껍질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흰무당버섯아재비, 냄새무당버섯, 민들레젖버섯, 갈색고리갓버섯, 두엄먹물버섯, 레이스말똥버섯, 땅비늘버섯, 갈황색미치광이버섯, 솔미치광이버섯, 비듬땀버섯, 하얀땀버섯, 삿갓땀버섯, 솔땀버섯, 보라땀버섯, 삿갓외대버섯, 흰꼭지버섯, 주름우단버섯, 회갈색민그물버섯, 노란길민그물버섯, 노랑싸리버섯, 붉은싸리버섯 등이 있습니다. 현재 알려진 버섯 중에서 먹을 수 있는 식용버섯은 아주 극소량의 종 밖에는 없습니다. 대부분 식용불명이거나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독버섯을먹은후의증상

독버섯에 의한 중독 증상은 버섯이 함유하고 있는 독성분에 따라 특징과 차이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한 종류의 버섯에도 여러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기도 하므로 복합적인 증상이 발현될 수도 있습니다. 치명적인 독성분을 가진 버섯들은 광대버섯속에 가장 많고, 그 밖에 화경버섯속, 개암버섯속, 깔때기버섯속 등이 있습니다.


 구분

 버섯이름

     증   상

 콜레라
증상

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독황토버섯

간장.신장세포의 파괴하며 치명적임.
격렬한 구토, 설사, 복통이 수반됨.
증상이 나타나기까지는 복용후 6~10시간이 걸림

 소화기

계통

노란다발
담갈색송이
외대버섯
삿갓외대버섯
화경버섯
붉은싸리버섯
노랑싸리버섯
녹변나팔버섯
어리알버섯속
흰갓버섯
흰독큰갓버섯


주로 소화기계통에 작용하여 식후 30분~3시간 정도에 증상이 나타남. 설사, 복통, 구통이 나타 남.
노란다발은 사망예도 있음

 축적성

주름우단버섯

용혈성빈혈, 소화기 증상


소화기+
신경증상

 마귀광대버섯
광대버섯
솔땀버섯.삿갓땀버섯.흰갓땀버섯외 땀버섯속의 많은 종류
비단빛깔때기버섯
흰삿갓깔때기버섯
맑은애주름버섯

소화기계통 및 신경계통의 양쪽에 작용.
명정, 환각, 착란, 근융경련 및 구토, 설사,발한, 혼수상태.
먹은 양에 따라 위험도가 커짐.


말초신경
통증

 독깔때기버섯

 손발의 말단에 붉은종양이 나타나고 격심한 통증이 야기됨.
증상의 발현이 10~20일로 늦음

환각

기타

 솔미치광이버섯
갈황색미치광이버섯
환각버섯속

 환각, 흥분, 한기, 손발과 혀의 마비, 부정맥, 동공의 산대, 혈압의 상승등.
증상발현이 식후 30분~1시간으로 빠름

 술과의

식용시

중독

 배불뚝이깔때기버섯
두엄먹물버섯
비늘버섯

 알콜과 함께 먹을 시, 안면홍조, 두통, 구토, 현기증 등.
버섯을 먹은 후 2~3일뒤에 술을 마셔도 증상이 나타남.

치명적

절구버섯아재비

 구토, 설사, 혀의 마비, 혈뇨, 혼수상태등의 증상이 나타 남

2009.09.16 수정됨 신고 의견 1

추천
추천 32

  • 답변

    우리나라의 버섯은 약 1550여종이 존재합니다.

    이중식욕과 약용으로 알려진 벗섯은 400여종이고 독버섯은 160여종 그리고 나머지 990여종은

    독버섯인지 식용인지 불명확합니다.


    전체의 64%가 식용인지 독버섯인지 확인이 안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겠는데요.

    싸리버섯, 뽕나무버섯, 송이, 능이, 느타리 및 노루궁뎅이 등 식용버섯으로 잘 알려진 버섯들은 

    여름이 끝나갈 무렵부터 초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요. 이들 버섯류에는 일부 독버섯과 유사하며


    맹독성 버섯들도 식용버섯과 함꼐 발견 되어 버섯 채취하여 식용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사람들이 독버섯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독버섯은 화려하고, 민달팽이나 곤충 피해가 없고, 은수저는 검게 변화시키며, 대가 세로로 찢어지고,

    소금에 절이면 무독화 된다는 말들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민달팽이나 곤충을 사람보다 버섯의 독소에 저항성이 크기 때문에 벌레 먹을 독버섯도 많이 있습니다.

    약한 독소를 가진 독버섯들은 소금물로 독소물질을 우려 낼 수 있지만, 맹독성 버섯은 독소물질이


    소량이라도 강력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소금물에 절인다고해서 독소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또, 버섯의 독소물질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독소물질과 달라 은수저를 검게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식용버섯과 유사한 독버섯 구분


    식용버섯: 느타리, 독버섯: 화경버섯 

    식용버섯 특징: 갓 표면 회갈색-담황색, 주름살 백색, 자루 절단면은 암갈색 반점이 없음 

    구분내용: 갓 표면의 인편 유무, 자루 절단면의 반점 유무 

    독버섯특징: 갓 표면 황등갈색, 자갈색~암갈색의 인편, 주름살 담황색, 자루 절단면 중앙에 암갈색 

    반점이 있음 



    식용버섯: 싸리버섯, 독버섯: 노랑싸리버섯 

    식용버섯 특징: 버섯은 옅은 황백색, 가지 끝은 담홍색-담자색 

    구분내용: 가지 끝 색깔 다른 싸리버섯류는 가지 끝이 담홍색을 띠지 않음 

    독버섯특징: 버섯은 유황색, 가지 끝은 황색 



    식용버섯: 갓버섯, 독버섯: 갈색고리 갓버섯  

    식용버섯 특징: 버섯은 크고 자루가 15~30cm 

    구분내용: 버섯 크기 차이 

    독버섯 특징: 자루 길이는3-5cm, 갓 표면중앙이 담갈색-적갈색 



    식용버섯: 송이, 독버섯: 담갈색송이  

    식용버섯 특징: 버섯 표면은 황갈색~밤갈색, 상처를 입어도 조직은변색 안함

    구분내용: 표면 색깔, 상처시조직 변색 유무 

    독버섯 특징: 버섯 표면은 적갈색-밤갈색, 상처를 입으면 조직이 갈색으로 변색 



    식용버섯: 개암버섯 , 독버섯:노란다발  

    식용버섯 특징: 조직은 황백색, 맛이 없음

    구분내용: 조직의 맛 유무 

    독버섯 특징: 조직은 황색, 맛은 쓴맛 



    식용버섯: 갈색먹물버섯, 독버섯: 두엄먹물 버섯  

    식용버섯 특징: 버섯은 담황갈색 갓의 조직이 얇음

    구분내용:  버섯 색깔 차이 

    독버섯 특징: 버섯은 담회색 갓의 조직이두꺼움